스마트벤처창업학교 지원 내용
창업을 준비하는 분들은 일반적으로 회사설립절차에 대한 정보에 어두운 것이 사실입니다.
자신의 아이템이 타당한 것인지,
부족한 자금은 어디에서 마련할지
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막연함을 느끼게 됩니다.
이때는 무조건 뛰어들기 보다
먼저 창업에 대핝 조언을 구할 수 있는 곳을 찾아보는게 좋은데,
이중에서도 가장 우선적으로 알아볼 곳은 바로 정부지원입니다.
정부차원에서 운영하는 시.군.구 창업민원실이나
민간에서 지원하는 중고기업상담회사
혹은 각종 프랜차이즈 박람회를 통한 사전 지식 습득이 되겠습니다.
특히 만 40세 미만으로 창업한지 3년 미만이라면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스마트벤처창업학교 지원제도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앞서 포스팅에서 신청대상과 자격을 살펴보았는데,
이번 글에서는 지원내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지원내용
스마트벤처창업학교에 선정이 되면,
연간 최대 1억원 내에서 창업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데, 총 사업비의 70%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내돈 30%정도에 정부지원금 70%로 창업을 할 수 있다는 예기입니다.
자금지원에 보태
각 대학 산학협력단 및 해당 지역 벤처진흥원 및 벤처사업가의 전문 컨설팅을 무료로 받을 수 있고,
보유아이디어의 사업계획 수립, 아이템 개발,
창업 사업화를 단계별로 일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총 32주과정동안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과정을 보면..
위의 표와 같이 진행이 되는데,
각 지역별로 모집인원은 다소 상이 할 수 있으므로,
정부공식 사이트인 (http://www.changupnet.go.kr/)에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지원절차는
사업계획수립 3주과정과 창업교육 3주, 개발 및 서비스 구현 16주, 마케팅 사업화 10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번째, 사업계획수립 과정에서는 성공기업의 특강, 분야별 전문가 멘토링을 통한 사업계획 수립을 하게 되는데
과정이 마무리되는 시점에 사업계획평가를 하여 하위20%는 탈락되게 됩니다.
두번째, 창업교육에서는
수익모델 창출, 법인 설림 방법, 재무.회계 등의 경영실무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게 됩니다.
세번째, 개발 및 서비스 구현 16주 과정에서는
전용개발공간인 사무실이 주어지고, 개발자금 과 창업활동비가 제공이 됩니다.
분야별 전문멘토링이 3회 제공되고, 개발에 따른 세부 멘토링은 16회 이상 제공됩니다.
이 과정 마무리에도 평가가 있게 되는데 사업개발 결과물에 대해 중간평가후 하위 10%는 역시 탈락되게 됩니다.
네번째, 마케팅 사업화 10주 과정에서는
개발 결과물의 상용화를 위한 마케팅 자금이 지원되고,
각 기업제휴 및 투자연계 기회가 제공됩니다.
이렇게 해서 사업화가 이뤄지면 최종보고서 작성 및 최종평가가 실시되고 졸업하게 됩니다.
이후 우수 창업자에 대해서는
투자유치, 보육공간 제공 및 해외 진출에 대한 정부지원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21014년 스마트벤처창업학교는 현재 거의 모든 지역에서 신청이 완료되어,
보육과정이 마무리 된 곳이 많고, 아직 진행중인 곳도 여러군데 있습니다.
창업학교 지원을 생각하시는 분이라면 내년도 2015년 상반기를 대비하시면 됩니다.
신청기간은 주로 2월초에서 3월 중순경까지 이루어집니다.
현재 지역은 서울,경기 지역과 비수도권 지역으로는 대구와 대전에서 진행중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창업넷(http://www.changupnet.go.kr/) 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