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비,용돈 관리는 주 단위로 하자 -Ⅰ편
재테크에 앞서 가장 우선되는 것이 소비습관 아닐까요?.^^.
당연합니다.
실제로 재테크를 하려고 하는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
초기에 재테크를 통해 남길수 있는 이득은 그렇게 크지 않기 때문에,
1년동안 비계획적으로 지출하는 비용이,
10년동안의 재테크 이득보다 훨씬 큰경우가 종종 생기기도 하거든요..
그래서 진짜 재테크는..
소비습관을 제대로 "테크' 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그럼 소비습관 1편으로 오늘은 쪼개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비습관은 어린 자녀들 교육에서부터 시작하면 가장 좋지만,
아직 성인된 지금에도 소비 계획을 한번도 세워본 적이 없다면,
지금부터 시작하면 됩니다.
첫째, 매달 계획적 소비를 위해서는, 인생 재무설계부터 해야한다.
대개 한달 재무계획에서 재테크 투자비용으로 책정해 놓은 금액이 있습니다.
아마, 이런 계획 자체가 구체적으로 서 있지 않다면,
어디에 얼마를 떼어두어야 하는지가 막연하기 때문에,
그때 그때 대충 살림에 맞춰 지출을 하게 되는데,
그러므로, 제일 먼저,
앞서 살펴봤던 인생 재무설계를 먼저 세우는 것이 최우선입니다.(▷앞 포스트보기)
둘째, 저축이나, 펀드투자액을 떼어놓고, 생활비 계획을 짜라.
월급 받는 주기가 한달이기 때문에 소득에 대한 소비를 계획하는 것은,
월 단위가 될수 밖에 없습니다.
월 단위 소비계획을 짤 때에는 먼저 위의 장기적 재무계획에 따라,
먼저, 저축이나 펀드, 그리고 결혼비용,자녀교육비와 같은 목적형 자금에 들어갈 비용을 뺀 나머지 금액을 가지고 생활비를 책정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재무설계에 있어 투자대비 지출은 50:50 정도를 추천하지만,
본인의 여건에 맞춰 투자 비율을 높일 수 있다면,
'복리의 법칙'(▷복리법칙 보기)이 적용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그 결과는 상당한 차이를 가져오게 됩니다.
셋째, 소비계획을 1주일 단위로 짜라.
어느정도 소비,지출계획을 세우는 대부분의 사람들도 한달의 기간에 대해서
대략, 얼마의 여유를 설정하고 소비를 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월급(?^^), 즉, 돈 들어오는 주기가 한달이기 때문인데요,
한달이란 기간은 소비계획을 세우기에는 부적절한 긴 시간입니다.
자칫 과소비, 의도치 않은 돈을 써버릴 수 있습니다.
프랭클린 플래너를 혹시 쓰시는 분들은 알겠지만,
대부분의 성공학 책에서 플랜을 짜는 단위는 1주일 단위가 기본입니다.
1주일 단위로 계획을 짜면 주말 여행, 혹은 주말마다 가는 마트에서 얼마를 사야할지,
차운행은 언제 해야할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수가 있습니다.
실천해서 몸에 익으면, 이상하게도 예전보다 한달 생활비가 줄어드는 경험을,
누구라도 하게 됩니다.
다음편에서 구체적으로 주단위 소비의 장점을 살펴볼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