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베이 시장조사 방법
이베이에 물건을 파는데에 있어 성공의 2가지라고 한다면,
첫째는, 아이템 발굴이요.
둘째는, 마케팅
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오늘은 이베이에서 팔리는 아이템, 시장조사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마케팅 조사 방법인데,
가장 기본적인 것만 일단 다뤄보겠씁니다.
이베이에 들어가면 맨 위에 검색창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오른쪽 Search 버튼 오른쪽의 Advanced 를 클릭하면,
상세검색 페이지가 나옵니다.
1. 먼저 Enter Keywords or item number에서 자신이 찾고 싶은 아이템의 키워드를 입력합니다.
2.Search including : 에서는 Completed listings를 체크합니다.
Completed Listings 은 이미 종료된 아이템으로 어떤게 얼마나 올라가서 어떤게 팔리고 어떤게 안팔렸는지를 알아볼수 있습니다.
Sold Listings의 경우는 비슷한 상품이라도 어떤게 팔리지 않았는지 그 퍼센트와 세세한 차이점을 살펴볼 수 없어 Completed Listings 항목이 시장조사에는 좀더 좋습니다
3.Price : 본인이 팔고자 원하는 상품의 가격 범위를 입력합니다.
이베이의 경우 배송비와 관세등의 여러가지 사항들을 고려할때 최소 1만원대 이상에서 15만원대 사이의 상품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고려되는 가격이지만, 판매를 하다보면 특정 구매자 층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가격을 달리해서 분석해 볼 수 있습니다. 첫 판매니 만큼 가장 일반적인 조건으로 검색해보겠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만 조건을 주었고, 나머지는 기본설정 그대로 두었습니다.
저는 Vintage 키워드로, Completed Listings, $20.00~$150.00 사이의 상품을 검색해 보았습니다.
검색을 하게 되면 End Date : recent first 로 소팅이 되어 검색결과가 뜨는데, 가격대별로 어떤 상품이 많이 팔리는지 알아보기 위해 Price + Shipping : Highest First 항목을 선택하여 재 정렬을 시켰습니다.
결과페이지를 보면, 왼쪽 상단에 All Listings, 즉 옥션방식으로 올라온 상품이나, 즉시구매로 올라온 상품 모두를 선택하였고. Sorting은 20달러에서 150달러 사이의 가장 비싼 가격대부터 정렬이 되었습니다.
위에 두 리스트는 녹색으로 가격이 표시 되어 있는데 이 것은 이 물품이 팔렸다는 표시이고,
아래의 검은 글씨로 가격이 되어있는 것은 팔리지 않고 판매종료가 되었다는 표시입니다.
그럼 여기에서 팔린 제품을 위주로 해서 어떤 상품이 잘 팔리는지를 분석 할 수 있는데,
이때 얼마나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아이템인지는 가격 아래에 보이는
2 bids, 10 bids 라는 항목을 보면 관심도를 알수 있습니다..
Bid란 구매자들이 실제로 경매가를 써낸 횟수를 말하는데,
이것이 높을 수록 많은 사람들이 이 물건들을 사려고 했다는 뜻이 되겠죠..
해당 상품에 들어가보면
총 10번의 응찰이 있었습니다.
파란 글씨의 10 bids 를 클릭해봅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자세한 응찰 현황을 볼 수 있습니다.
총 응찰자는 3명인데, 3명이서 서로 경매에 참석해서 총 10회 경매가가 오간것을 볼 수 있습니다.
처음에 $5.00(GBP니까 USD 달러로 약 8달러정도 됩니다.)로 시작한 가격이 31 달러까지 가서
낙찰되었습니다. 6배의 가격에 팔렸네요..
처음으로 돌아가 비슷한 아이템을 다시 검색해봅니다.
여기서는 수저가 되겠습니다.
비슷한 상품에서 어떤것이 잘 팔리고 있는지 다시 위의 과정을 거쳐 분석합니다.
좀더 범위가 좁혀지면서, 잘 팔리는 아이템이 보이시나요?
자, 대충 감이 오시지요?
아이템 찾는 방법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을 살펴 보았습니다.
본인의 키워드를 넣어 보시고,
또 좀더 상세한 키워드를 파고 들수록 좀더 디테일한 시장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유사상품들로 범위를 좁혀가시면 동일한 제품인데도 어떤 차이가
대박 상품을 만들어내고 있는지 대충 감을 잡을 수가 있습니다.
다만, 이베이판매를 하면서 특히, 한국 판매자들에게 느끼는 것이지만,
제발 한국 판매자가 파는 아이템에 가격경쟁 하면서 굳이 뛰어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아이템은 얼마든지 많은데 괜히 제살 깍아먹을 필요는 없으니까요?
아이템 분석시 한국인 판매자걸 분석치 말고,
다른 나라 많이 팔리는 아이템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는 Win Win 셀러가 됩시당~^^~
앞으로 시간있을때 마다 조금씩 살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