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호스트 Bluehost 호스팅 완료후 도메인주소 DNS 연결방법
블루호스트 웹호스팅 가입을 완료하였으면 이제 도메인 주소와 연결을 해야 합니다.
블루호스트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도메인주소 말고,
따로 다른 도메인 등록 사이트를 통해 도메인을 가입했을 경우,
이 도메인 주소를 블루호스트와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도메인 or 도메인 주소는 www.oooooo.com 과 같은 웹주소를 예기하고,
호스팅이란 홈페이지가 들어갈 장소(웹하드 공간)를 예기합니다.
도메인주소를 신청했다는 것은 내 홈페이지가 들어설 주소명을 하나 받았다는 것이고,
호스팅을 신청했다는 것은 집이 들어설 땅을 샀다는 예기와 같습니다.
그러니 이제 이 땅에 주소를 부여해 주는 것이 바로..
도메인과 호스팅을 연결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장소(웹하드 공간)에 집을 짓는 것(홈페이지를 만드는 것)은..
나중에 워드프레스 Wordpress 를 가지고 사이트를 구축해 나가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저의 경우는 닷네임 dotname.co.kr 에서 도메인 주소 하나를 이미 등록해 놓았는데요.
이것을 이제 블루호스트 웹호스트에 연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예전에 블루호스트 가입하면서 무료로 주는 도메인을 사용해서 블로그를 운영했었는데, 그다지 추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왜냐면 이 도메인은 나중에 블루호스트 서비스를 중단했을 경우, 내 소유가 아니라 블루호스트의 소유가 되기 때문입니다. 어렵게 인지도를 높여놓은 도메인 주소를 다시 찾아올수 없으니 참 아깝죠..
그럼 이제부터 도메인주소와 블루호스트 웹호스트를 연결해 보겠습니다.
만약, 해외마케팅 이나 판매를 생각하시면서 아직 웹호스팅을 신청하지 않으셨다면,
서둘러 호스팅부터 신청해두고 다음으로 진행해 주세요..(▷블루호스트 가입 바로가기)
1. 도메인을 신청한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저 같은 경우 dotname.co.kr에서 도메인을 신청하였으니 여기로 로그인합니다.
2. 도메인 등록한 사이트에서 도메인관리로 들어가면 DNS설정 혹은 네임서버변경 과 같은 메뉴가 있을텐데,.
해당 메뉴로 들어갑니다.
3.해당메뉴에서 본인의 도메인명을 클릭해 보면 네임서버 정보 입력란이..3~5개 정도 쭉 나와있습니다.
일단 도메인 회사의 네임서버가 기본 디폴트 Default 값으로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각자 신청하신 도메인 사이트가 다르기 때문에 메뉴구조나 화면구성은 좀 다를 수 있습니다.
어쨋든...위와 같은 화면을 찾으시면 됩니다.
4. 이제 블루호스트에 로그인하여 화면 상단의 domains > domain list 를 클릭하면 아래처럼 본인이 등록한 도메인이 리스트에 뜹니다. 이때 해당 도메인을 클릭하면 오른쪽 화면에 세가지 메뉴(main | name servers | transfer options)가 뜹니다.여기에서 name servers 탭을 클릭하면 DNS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5. 위에 쓰여있는 두 종류의 DNS 서버주소를, 3번에서 열어둔 도메인 등록사이트(저의 경우는 dotname.co.kr) 의 네임서버 정보에 입력합니다. 기존에 디폴트로 입력되어 있는 주소를 모두 지우고 ns1.bluehost.com을 1차에 그다음 ns2....를 2차 네임서버로 설정해줍니다.
6. 아래 변경 버튼을 누르면 성공하였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뜨면 모두 완료..
변경후 약 24시간 정도가 지나면 해당 도메인 주소로 블루호스트가 연결되게 됩니다.
아직 워드프레스나 홈페이지를 블루호스트에 설치 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소를 입력해서 들어가면 Default 화면이 뜨거나,
혹은 아무 화면이 안뜰수도 있습니다.
이제 모두 끝났으니 다음에는 이 호스팅 받은 공간에 홈페이지를 구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전세계적으로 약 90%가 사용한다는 Wordpress를 가지고 블로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